🗒️ 도전! 유통관리사
㉔ 제조사 생산관리
이번 주는 ‘유통물류일반’과 ‘유통마케팅’ 과목에서 가끔 출제되는 제조사 생산관리 개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먼저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라고 하는 ‘자재소요계획’입니다.
MRP란 완제품을 기준으로, 제품 생산과 조달에 필요한 원·부자재의 소요량과 소요 시기를 파악하여, 필요한 때에 필요한 만큼 조달하는 재고관리 기법인데요. 적시에 알맞은 원·부자재량을 조달하여 생산 시기를 맞추고 자재 낭비를 방지하며, 자재 조달 기록을 통해 자재 조달 계획을 사전에 수립하여 전반적으로 생산 프로세스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MRP의 기능
- 생산목표 달성을 위한 제품라인의 수요량 확ㄹ인과 우선순위 결정
- 생산일정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 원자재 조달 및 소요량 현황 구매부서 전달
- 제품별 생산능력 확인 및 필요시 우선순위 조정
다음은 S&OP(Sales & Operation Plan)라고 하는 ‘판매생산계획’ 입니다.
S&OP에서 Sales는 수요를 의미하며, Operation은 공급을 의미합니다. 즉, 제품들의 수요에 맞춰서 제조사가 얼마나 잘 생산을 해나가는가에 대한 관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넓게 보면 제조사의 S&OP 프로세스는 영업, 마케팅, 제품 개발, 제조, 조달, 재무, 회계 등의 운영 관련 영역들이 조화롭게 협업하여 재무 목표와 조직의 목표를 충족할 수 있게 하는 전사적인 생산관리 계획입니다.
S&OP의 기본 프로세스
(1단계) 판매계획 : 제품을 얼마나 판매할 것인지 예측하고 계획을 수립
(2단계) 공급계획 : 판매계획을 어떻게 충족시킬 것인지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
(3단계) 공급조율 : 공급계획과 공장의 가용 생산능력을 비교하여 가능한 생산계획을 조율
(4단계) 공급이행 : 최종 조율된 공급계획으로 제품 생산을 실행하고 모니터링 실시
-----
과거에 제조사 쪽에는 ‘생판회의’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한 달에 한 번 생산부서와 영업부서가 만나 이슈들을 협의하던 월간회의 같은 것이 S&OP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제 S&OP는 ERP와 같은 하나의 솔루션(시스템)으로써 매일매일 주문량과 공급량을 분석하여 최적의 생산계획을 도출하는 기능을 한다고 합니다.
최근 보도기사를 보니, 롯데칠성음료가 연세대학교와 손잡고 AI 기반의 S&OP 수요예측 모델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AI머신러닝, 빅데이터 분석 전문인재도 계속 양성하고 있다는 내용이 포함된 기사였는데요. 유통 분야의 디지털 전환은 유통사 뿐 아니라 제조사도 같이 동참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 좋은 사례인 것 같습니다.
[기출문제풀이]
다음의 괄호에 공통으로 들어갈 용어는 무엇인가요?
- ( )는 조직들이 시장의 실질적인 수요를 예측함과 동시에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대응하는 전략이다.
- ( )의 목표는 조직들이 최소 재고를 유지하면서, 적시 공급을 통한 가장 높은 수준의 고객 만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 정답 : S&OP, 여기서 고객만족이란 유통사와 소비자까지 포함된 ‘최적의 수요대응’을 의미함
🗒️ 도전! 유통관리사
㉔ 제조사 생산관리
이번 주는 ‘유통물류일반’과 ‘유통마케팅’ 과목에서 가끔 출제되는 제조사 생산관리 개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먼저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라고 하는 ‘자재소요계획’입니다.
MRP란 완제품을 기준으로, 제품 생산과 조달에 필요한 원·부자재의 소요량과 소요 시기를 파악하여, 필요한 때에 필요한 만큼 조달하는 재고관리 기법인데요. 적시에 알맞은 원·부자재량을 조달하여 생산 시기를 맞추고 자재 낭비를 방지하며, 자재 조달 기록을 통해 자재 조달 계획을 사전에 수립하여 전반적으로 생산 프로세스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MRP의 기능
다음은 S&OP(Sales & Operation Plan)라고 하는 ‘판매생산계획’ 입니다.
S&OP에서 Sales는 수요를 의미하며, Operation은 공급을 의미합니다. 즉, 제품들의 수요에 맞춰서 제조사가 얼마나 잘 생산을 해나가는가에 대한 관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넓게 보면 제조사의 S&OP 프로세스는 영업, 마케팅, 제품 개발, 제조, 조달, 재무, 회계 등의 운영 관련 영역들이 조화롭게 협업하여 재무 목표와 조직의 목표를 충족할 수 있게 하는 전사적인 생산관리 계획입니다.
S&OP의 기본 프로세스
(1단계) 판매계획 : 제품을 얼마나 판매할 것인지 예측하고 계획을 수립
(2단계) 공급계획 : 판매계획을 어떻게 충족시킬 것인지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
(3단계) 공급조율 : 공급계획과 공장의 가용 생산능력을 비교하여 가능한 생산계획을 조율
(4단계) 공급이행 : 최종 조율된 공급계획으로 제품 생산을 실행하고 모니터링 실시
-----
과거에 제조사 쪽에는 ‘생판회의’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한 달에 한 번 생산부서와 영업부서가 만나 이슈들을 협의하던 월간회의 같은 것이 S&OP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제 S&OP는 ERP와 같은 하나의 솔루션(시스템)으로써 매일매일 주문량과 공급량을 분석하여 최적의 생산계획을 도출하는 기능을 한다고 합니다.
최근 보도기사를 보니, 롯데칠성음료가 연세대학교와 손잡고 AI 기반의 S&OP 수요예측 모델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AI머신러닝, 빅데이터 분석 전문인재도 계속 양성하고 있다는 내용이 포함된 기사였는데요. 유통 분야의 디지털 전환은 유통사 뿐 아니라 제조사도 같이 동참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 좋은 사례인 것 같습니다.
[기출문제풀이]
다음의 괄호에 공통으로 들어갈 용어는 무엇인가요?
- ( )는 조직들이 시장의 실질적인 수요를 예측함과 동시에 비용효과적인 방법으로 대응하는 전략이다.
- ( )의 목표는 조직들이 최소 재고를 유지하면서, 적시 공급을 통한 가장 높은 수준의 고객 만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 정답 : S&OP, 여기서 고객만족이란 유통사와 소비자까지 포함된 ‘최적의 수요대응’을 의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