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4 풀필먼트 서비스

2023-09-18

🗒️ 도전! 유통관리사

 ⑭ 풀필먼트 서비스


이번주는 유통물류일반 과목에서 꾸준히 출제되고 있는 풀필먼트 서비스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시중의 유통관리사 교재에서는 전통적인 물류관리와 SCM 외에 ‘풀필먼트’ 관련 내용은 제대로 다루지 않아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풀필먼트의 정의

풀필먼트(Fulfillment)란 사전적인 의미로 이행, 수행, 완수, 실현, 달성, 성취와 같은 뜻을 담고 있는데요. 유통물류업의 관점에서 본다면 고객의 주문을 처리하는 모든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풀필먼트의 역사

풀필먼트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미국의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기업, 아마존입니다. 1999년 아마존의 SCM 담당 임원 ‘제프 월크’가 그동안 유통사들이 사용하던 물류센터(Distribution Center)라는 용어 대신 풀필먼트 센터라는 용어로 바꾼 것이 시작이며, 이후 2006년 아마존 판매자들을 위한 풀필먼트 서비스 FBA(Fulfillment by Amazon)을 출시하며 본격적으로 풀필먼트란 용어가 널리 퍼지게 되었습니다.

 

풀필먼트 vs 전통적 물류관리

기존의 오프라인 유통 중심의 물류센터에서는 매장에서의 상품판매 정보를 바탕으로 각 매장에서 필요로 하는 상품의 양(수요)을 예측하여 이를 바탕으로 납품기업들에게 재고를 보충하도록 하는 리플레니시먼트(Replenishment)가 주요한 기능이었다면, 온라인 유통이 발전하고 유통사와 해당 유통사의 판매자(Seller)들이 고객의 주문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일이 중요해짐에 따라, 유통사나 물류 대행업체가 고객의 주문을 확인하고, 상품을 포장하여 고객에게까지 배송하는 서비스를 일괄 제공하게 되었고 이제는 이러한 업무를 ‘풀필먼트 서비스’ 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풀필먼트의 효과

① 판매자 측면 : 풀필먼트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상품을 보관할 창고 확보 걱정이 없고, 물류와 관련된 업무를 아웃소싱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 판매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풀필먼트 서비스가 없었다면 판매자들은 주문이 들어올 때마다 판매자들의 창고에서 일일이 물건을 포장하고 택배 트럭을 기다려 물건을 고객에게 배송하는 등 많은 번거로운 일들을 알아서 해야 했습니다. 이제는 유통사가 지정한 풀필먼트 센터에 자사 상품의 재고만 보충해 놓으면 됩니다.

② 고객(소비자) 측면 : 풀필먼트 서비스가 없었던 시기에는 하나의 쇼핑몰에서 주문하고 결제했지만, 여러 판매자들의 상품 배송이 제각각 이루어졌었습니다. 이제는 유통사의 풀필먼트 서비스가 주문한 상품을 일괄로 처리해 주니 빠른 배송과 반품이 용이하게 됩니다.


③ 유통사 측면 :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훌륭한 풀필먼트 서비스는 고객 락인(lock-in) 효과를 가져오고, 추가적인 고객 확보와 판매자들에게 서비스 대가로 받는 수수료 수입도 유통사에 큰 도움이 됩니다.

 


--------

아마존은 고객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낮은 가격, 최상의 선택, 빠르고 편리한 배송이란 원칙을 사업 초기부터 지금까지 고수하고 있습니다. 몇 년 전 쿠팡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제출한 증권 신고서에는 ‘고객’ 이라는 단어가 536번이 들어가 있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하는 유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하나의 사업 모델이 고객 뿐 아니라 판매자와 유통사까지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모델로 발전한 사례가 풀필먼트 서비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퀴즈] 아래 설명 중 풀필먼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판매자 입장에서 번거로운 물류에 신경쓰지 않고 기획, 마케팅 등 본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② 생산지에서 출발해 물류보관창고에 도착하는 구간인 라스트마일의 성장과 함께 부각되고 있다.

   ③ 다품종 소량 상품, 주문 빈도가 잦은 온라인 쇼핑몰에 적합하다.

   ④ 판매상품의 입고, 분류, 재고관리, 배송 등 고객에게까지 도착하는 전 과정을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정답 ②)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39 상공회의소회관 17층 (우)04513

전화 : 02-6050-1400 | 이메일 : bizcenter@korcham.net

사업자번호 : 104-82-03590 | 개인정보책임자 : 김현수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39 상공회의소회관 17층 (우)04513

전화 : 02-6050-1400 | 담당자이메일 : bizcenter@korcham.net | 사업자번호 : 104-82-03590 | 개인정보책임자 : 김현수


Copyrignt ⓒ KCC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