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테일톡 64호 (2024년 11월 27일자)

2024-12-04
최근 5년 사이 46%나 성장한 글로벌 여성 건강기능식품 시장을 분석, 전망했습니다.

💌 유통 전문 뉴스레터 주간 Retail Talk 64호’ 

최근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화두는 '여성 건강'입니다. 과거에 비해 여성의 사회활동이 증가하고 기대수명도 길어지면서 자신의 건강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여성들이 늘고 있어요. 리테일톡 64호에서는 최근 5년간 시장 규모가 46%나 커진 글로벌 여성 건강기능식품 시장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 리테일톡 64호에 준비한 소식입니다.
   1. 커지고 세분화되는 우먼헬스 시장
   2. 한주간 유통가소식 Top 5
 🎯 Trend 
  글로벌 여성 건강기능식품 시장
생애 주기별 맞춤 건기식 시대,
커지고 세분화되는
'우먼헬스' 시장
  • 늘어난 사회활동, '건강수명'을 관리하는 여성들
  • 생애 주기별로 여성 건강 이슈도 달라져
  • 아시아, 천연재료 활용해 글로벌 시장 주도
자신의 건강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여성이 늘고 있어요. 과거에 비해 경제활동 참여도가 높고, 기대수명도 늘어났기 때문인데요. 이러한 현상은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에 새로운 조류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유로모니터의 뷰티&헬스 전문가 후 양 매니저가 여성의 생애 주기에 기반한 건강 솔루션을 제안하며 시장을 키우고 있는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업계 최근 동향에 대해 전해드립니다.

글 :  후 양(Hu Yang) 유로모니터 헬스&뷰티 인사이트 매니저


시대와 환경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이하 건기식)이 내세우는 소구 포인트도 달라집니다. 코로나팬데믹 전후로 면역력을 높여주는 건기식 수요가 급증했다면, 최근 글로벌 건기식 시장의 화두는 ‘여성 건강’입니다.
글로벌 기업들은 여성의 생애 주기별로 다양한 신제품들을 선보이며 ‘우먼 헬스(Women’s health)’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데요.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글로벌 건기식 시장에서 '여성 건강(women's health)'으로 포지셔닝 된 제품의 시장규모는 2019년 19억 2,900만 달러에서 2024년 28억 1,350만 달러로 5년 만에 45.9% 성장했어요.


* 여성 건강 문제(Women's Health Issue) : 여성이라는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생애 주기별로 나타나는 건강 문제를 말합니다.


  • 그림 1 : 여성 건강 관련 글로벌 건기식 시장 규모
자료 :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
10대부터 시작되는
여성 건강 문제

흔히 여성 건강과 관련된 건기식은 50세 이상 시니어 세대가 섭취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10~20대 젊은 여성을 타깃으로 한 건기식 시장규모도 작지 않습니다. 

유로모니터가 ‘여성 건강(Women’s Health) 이슈가 현재 나의 건강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요. ‘영향이 있다(매우 영향이 있다 + 어느 정도 영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중을 연령대별로 살펴본 결과, 30~44세가 69.8%로 가장 높았고 15~29세 여성의 응답률(63.9%)이 그 뒤를 이었어요(그림 2 참고). 45~59세 여성의 응답률은 57.2%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년보다 4%P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렇듯 여성들은 과거에 비해 이른 나이부터 여성 건강 문제에 대비하고 있으며, 자신의 건강에 진중하고 체계적으로 접근하려는 경향도 갈수록 강해지고 있습니다.

  • 그림 2 : ‘여성 건강 문제’가 현재 나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자료 :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 ‘Euromonitor Voice of the Consumer -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23’

여성건강 문제에 대한 대응방식을 물어본 질문에는 ‘의사를 만나거나 전문가와 상담한다’는 답변이 40%로 가장 높았고, ‘비타민 및 영양제 등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한다(38%)’는 응답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어요. 
한편,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5세 이상 시니어 여성층에서 2021년부터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습니다. 생애 주기별로 자연스럽게 찾아오는 여성 건강 문제에 대해 여성들은 과거와 달리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건기식 수요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건강수명’을 관리하는 여성들
유로모니터는 최근 발표한 ‘2025년 글로벌 컨슈머 트렌드’ 중 하나로 ‘건강수명(Healthspan Plans)’을 꼽았습니다. 기대수명이 길어지면서 단순히 오래 사는 것보다 심신이 모두 건강한 상태로 장수하는 ‘건강수명’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소비자들이 인식하기 시작한 건데요. 이와 함께 무조건 젊어 보이려고 하기보다 자연스럽게 나이가 드는 ‘웰 에이징(Well Aging)’을 추구하는 소비자들도 늘고 있습니다.
여성 소비자들이 여성 질환 및 증상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관련 솔루션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도 바로 ‘건강수명’을 관리하기 위해서인데요. 이러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글로벌 기업들의 접근도 다양한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시장에서는 기업들이 전통 천연성분을 주 원료로 한 건강기능식품들을 개발, 출시하면서 글로벌 여성 건강 솔루션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의 여성 건강 관련 제품 분석에 따르면, 글로벌 7개 지역 가운데 여성 건강 관련 건기식 제품이 가장 많이 출시된 곳은 중국, 일본, 한국, 인도, 태국, 인도네시아를 포함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었어요. 전세계 여성 건강 건기식 가운데 39%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출시되고 있습니다. 상품 개수는 12,522개, 이 중 한국에서 출시된 제품은 2,153개입니다. 그 다음이 서유럽(33%)으로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이 포함돼 있습니다(2023년 기준).
  • 그림 3 : 국가별 여성 건강 관련 건기식 상품 수
자료 :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 ‘Women’s Health Products in Consumer Health by Total SKUs, 2023’
주 : 온라인 기준
천연원료 활용해 온
아시아가 시장 주도

전 연령대를 통틀어 여성들이 가장 관심 갖는 건강 문제는 ‘갱년기(23.2%)’이지만 20~30대 젊은 여성들이 가장 관심 갖는 여성질환은 생리통입니다. 

오래 전부터 여성 건강 관련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천연 원료를 활용해 온 아시아 국가들은 나라별로 각기 다른 전통 치료법을 갖고 있어요. 하지만 오랜 기간 쌓아 온 신뢰도에 비해 섭취 방법이 까다로운 것이 문제였죠. 바로 이 점을 개선해 전통 천연 재료를 섭취하기 쉬운 현대식 제품으로 개발해 출시한 브랜드들이 최근 소비자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 그림 4 : 천연원료 건기식을 선호하는 여성 건강 문제
자료 : 유로모니터인터내셔널 ‘Euromonitor Voice of the Consumer : Health and Nutrition Survey’

중국 전통의학에서는 생강, 홍화, 익모초와 같은 약초 성분이 생리통을 완화하고 기력 회복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그런가 하면, 인도의 전통 의학인 ‘아유르베다(Ayurveda)’에서는 강황과 호로파 같은 천연 재료가 근육을 이완시키고 복통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렇듯 각 국가별로 전통 민간요법에 활용되는 약초 성분은 이미 해당 지역에서 여성 전용 세정용품, 생리용품, 진통제 제품의 주 원료로 활용되고 있어요.
 

일례로 인도의 여성 건강 브랜드 '에버이브(EVEREVE)'는 전통 원료인 아유르베다 성분을 활용해 여성의 생리통을 줄여주는 제품을 출시했어요. 또 중국의 전통 한방 지식과 현대 기술이 결합된 제품을 만드는 중국 '유예라이프(Yuyelife)'는 허브가 함유돼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는 아로마오일 흡입기를 선보였습니다.
그런가 하면, 북미나 유럽 지역 기업들이 아시아의 전통 재료를 활용해 제품을 출시하는 경우도 늘고 있어요. 미국 나우스포츠에서 출시한 호로파 보충제인 '나우푸드 페누그릭(Now Foods Fenugreek)'은 아마존 고객 후기가 14,000건을 넘을 정도로 미국에서 반응이 좋은 제품입니다. 여성뿐 아니라 갱년기 남성들도 이 제품을 섭취한 후 증상이 개선됐다는 리뷰들을 확인할 수 있어요. 


인도 전통 성분 '아유르베다'가 함유된
‘에버이브(EVEREVE)’ 제품
경련 완화에 도움이 되는
중국 ‘유예’의 아로마오일 흡입기.

프로바이오틱스의 재조명

여성 소비자들은 여성 질환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는 것을 자연스러운 건강관리 솔루션으로 인식하고 있어요. 이에 따라 기존 건기식의 소구 포인트를 여성건강 관점으로 재해석한 제품들도 늘고 있는데요.  
그동안 장내 건강을 위해 섭취해 온 프로바이오틱스가 여성질환 증상 완화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기업들은 질 내 미생물 균형, 세포 항산화, 뼈 건강 등으로 소구 포인트를 확대해 여성 맞춤형 제품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국내 여성 웰니스 브랜드 라엘(Rael)은 여성이 자신의 건강을 스스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질 내 미생물 검사키트와 영양 보조제 세트를 출시했어요.


국내 여성 웰니스 브랜드 라엘은 여성이 자신의 건강을 스스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질 내 미생물 검사키트와 영양 보조제 세트를 출시했어요

여성 건기식 시장에
지갑 여는 시니어

50세가 넘으면 본격적으로 헬시 에이징(Healthy Age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집니다. 고령화가 심각한 국가에서는 남성보다 오히려 여성 돌봄산업이 블루오션으로 여겨질 만큼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고령 여성 건강 시장이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습니다.
인구 전망에 따르면, 2040년까지 전세계 60세 이상 여성 인구는 같은 연령대의 남성보다 7,350만 명이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물가인상으로 인해 갈수록 증가하는 노후 생활비와 의료비를 걱정하는 50대 여성들은 가능한 한 경제활동을 오래 하고, 자신의 건강도 스스로 관리하고 싶어하죠. 향후 여성 건강 시장을 밝게 보는 이유입니다.


이렇듯 50대 이상 여성 소비자들은 호기심과 의무감, 그리고 현실적인 필요에 의해 여성 건강 건기식 시장에 지갑을 열고 있어요. 유로모니터 소비자 설문조사에 따르면, 건강과 관련한 모든 이슈에서 60세 이상 여성은 남성보다 염려하는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어요(그림 5 참고). 특히 증상이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수면장애나 정신적 스트레스에 있어 남성보다 염려하는 정도가 훨씬 높았습니다.


  • 그림 5 : 60세 이상 소비자들의 건강 이슈별 염려 수준
자료 : 유로모니터인터내셔널 ‘Euromonitor Voice of the Consumer: Health and Nutrition Survey’

최근 국내 기업들도 갱년기 여성을 타깃으로 다양한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유한양행의 자회사인 유한건강생활은 '백수오 등 복합추출물' 원료를 활용한 제품을 출시해 국내 소비자들에게 높은 호응을 얻었고 이를 기반으로 해외시장의 활로를 개척하고 있습니다. 유한건강생활이 개발한 ‘백수오 등 복합추출물’은 국내 최초 식약처에서 여성 갱년기 기능성을 인정받은 성분입니다.

건강기능식품 영역을 넘어, 고령 여성의 웰니스 라이프를 위한 서비스도 출시되고 있어요. 
코스타리카에 위치한 웰니스 리조트인 '더 리트리트 코스타리카(The Retreat Costa Rica)는 폐경기 여성을 위한 맞춤형 웰니스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자연 속에서 운동, 치유, 영양에 대한 솔루션을 함께 제공하며 자칫 우울해지기 쉬운 이 시기를 여성들이 건강하고 활기차게 보낼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입니다.....
👉 more
  

🔖 한주간 유통가 소식 Top 5

1️⃣ 10월 유통업체 매출 6.7% , 온라인 13.9%↑ ▶️
산업통상자원부가 어제 10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을 발표했어요. 발표에 따르면 국내 유통업체 매출은 6.7% 증가했지만, 오프라인 채널인 대형마트와 백화점 매출은 작년보다 각각 3.4%, 2.6% 감소했습니다. 특히 가전·문화, 패션·잡화 매출은 작년보다 각각 22.1%, 9.2% 감소했어요. 온라인 채널 경우 서비스(66.5%), 식품(24.8%), 생활·가정(11.3%) 등에서 성장세가 지속됐지만, 패션·의류, 가전 매출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식약처, 폰으로 식품정보 확인하는 푸드QR 운영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소비자가 식품 안전 정보를 휴대폰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식품정보 확인서비스(푸드QR)를 본격 운영합니다. 푸드QR은 제품별 상품 식별코드와 해당 식품의 표시사항, 회수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인터넷 주소가 담긴 정보 전달체계인데요. 식약처는 올해 국내 제조 식품을 시작으로 내년에 수입식품, 2026년에 국내 농·축·수산물 등 모든 식품으로 푸드QR 적용 범위를 확대할 방침입니다.

3️⃣ 올리브영 혁신매장, 올리브영N 성수 개점 ▶️
지난주 금요일, 올리브영의 혁신매장 1호점인 N성수 개점으로 성수동 일대가 들썩였습니다. 올리브영N 성수는 총 5개층으로 구성돼 있으며, 매장면적이 약 1,400평(4628㎡)에 이르는 올리브영 최대 규모입니다. 올리브영N 성수는 글로벌 MZ세대의 소비 특성을 반영해 최신 K뷰티 트렌드 큐레이션 공간으로 꾸미고, 오프라인 매장이 선사하는 경험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는데요. 다음주 리테일톡에서 보다 자세한 내용을 전달해드릴 예정입니다.

4️⃣'초가성비', '구독경제', 2025 키워드 발표 ▶️
매경이코노미가 내년에는 우리나라의 경제 회복 속도를 높이자는 뜻으로 2025년의 주요 이슈를 ‘ACCELERATE’로 정리했어요. 각 약자는 AGI(범용인공지능), 대폐업의 시대(Close-down), 초가성비(Cheaper), 기후 위기(Environmental Crisis), 제로 트렌드(Less is more), 극단적 대립과 분열(Extreme Conflict), 구독경제(Rental & Subscription), 지체 사회의 일상화(Arrears), 텍스트힙(Text Hip). 전기차 포비아(EV- phobia) 현상을 의미합니다. 

5️⃣ 월마트와 타깃의 엇갈린 실적▶️
월마트가 연간 매출액 목표치를 또 상향조정했습니다. 월마트는 올해 매출이 예상보다 호실적을 거두면서 2025 회계연도 연간 순매출액이 전년 대비 4.8~5.1% 증가할 것이라고 발표했어요. 반면, 타깃은 3분기 동일매장 매출이 전년 대비 0.3% 증가했다고 밝혔는데요. 이는 시장 예상치를 크게 못 미치는 수치입니다. 경기악화로 타깃을 이용하던 미국 중산층이 월마트로 이동하면서 두 기업의 실적이 엇갈렸다는 분석입니다.
 
  

리테일톡 64호 소식은 여기까지입니다.
리테일톡은 12월 4일 수요일 아침에 더욱 유익한 콘텐츠를 들고 찾아뵐께요.
 📢 리테일톡 64호 어떠셨나요? 
      더 나은 뉴스레터를 위해 여러분의 의견을 보내주세요~
      주제 제안은 물론, 질책과 칭찬 모두 환영합니다^^ 
리테일톡 바로 공유하기 URL : https://stib.ee/baOF

ⓒ Retail Talk  |  구독하기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39 상공회의소회관 | 02-6050-1400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39 상공회의소회관 17층 (우)04513

전화 : 02-6050-1400 | 이메일 : bizcenter@korcham.net

사업자번호 : 104-82-03590 | 개인정보책임자 : 김현수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39 상공회의소회관 17층 (우)04513

전화 : 02-6050-1400 | 담당자이메일 : bizcenter@korcham.net | 사업자번호 : 104-82-03590 | 개인정보책임자 : 김현수


Copyrignt ⓒ KCCI. All Rights Reserved.